인트로
대선의 D. D데이가 머지않았습니다.
여러 종목들이 스토캐스틱, RSI의 상단을
뚫어버리며 일상과 다른 주가 흐름을
보이고 있는 요즘입니다.
이럴수록 바짝 긴장하고
관련 종목들을 면밀히 살펴본다면
매매의 기회가 나에게도
올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한 번 더 분석하였다면
좋았을 신재생 에너지 분야의
SK 이터닉스는 아쉽게도
보내줘야 할 것 같군요.
최근에는 니황 반도체인
한미 반도체도 날아가고요.
지수의 수급은 분산되어 가는 요즘이지만
큰 흐름으로 보면 순환매의 장세이기도합니다.
다가오는 6월 초 대선 때문입니다.
100조 이상 투자하는 것을
대선 공약으로 내세운 現 야당에서
언급한 바가 있는 만큼
AI관련주이자 대선테마주인
셀바스 AI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기업개요
중형 우량주라고 할 수 있는 코스닥 인공지능 전문 기업입니다.
국내 1호 인공지능 전문기업
26년 구력.
셀바스 AI [108860]
대표이사 : 곽민철.
재무분석
실적 요약
최근 1년간의 실적은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
특히 지난 2분기(2024년 하반기)는
당기순이익이 3분기 -12억 원,
4분기에서 -26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손익계산
매출에서 지난 분기 대비
충분히 많은 매출액을
기록하였고 향후 매출액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3년 매출액 530억 원)
(2024년 매출액 1,124억 원)
그러나 판관비가 만만치 않게
나오면서 영업이익률을
다 깎아먹었어요.
판관비 세부
하단의 기타 원가성비용에서
뭉쳐서 531억 원을 계상되어 있습니다.
어떻게 된 수치일까요.
이 경우 일시적인 비용이라면
미래는 밝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공시검색을 통하여 사업보고서를 읽고
비용의 출처를 몇몇 찾을 수 있었습니다.
주석 - 비용의 성격별 분류
셀바스 AI의 연결재무제표 주석을
살펴보면 31번 항목에서 특이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제품이나 상품을 판매하면서
생기는 원가의 성격별 분류입니다.
때로는 증권사이트나 HTS에서
알 수 없던 내용들도 주석을 살펴보다
보면 피와 살이 되기도 합니다.
먼저 비용은 딱 봐도 500억 원 증가하였고
그 원인은 원재료에서 250억 원,
급여에서 120억 원,
무형자산상각, 지급수수료, 기타 비용 등에서
비용이 컸음을 알 수 있습니다.
기타 비용의 무형자산손상차손
기업이 보유한 무형자산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나 R&D자산 등)의 가치를
회계에 반영하는 것으로 비현금성 손실입니다.
실제로 돈이 나간 것은 아니지만
손익 계산서 상 영업이익을 깎는 요인이며
일회성일 확률이 높습니다.
- 기타 비용은 전기 대비 약 80억 원 증가
재무적으로 기대되는 점
네이버 증권이나 영웅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시피
당사의 예상 매출은
20% 상승이 기대되는 수준입니다.
영업이익도 크게 증가됩니다.
지대하게 늘어난 원재료비, 수수료, 인건비는
공장이 팡팡 돌아가는 AI 소프트웨어를
벗어나 하드웨어 제조업체를 인수하는 데
영향이 있다고 볼 수 있는데요.
손상차손 등 일회성 비용을 줄이고
판관비를 개선한다면
더 큰 영업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재료분석
[특징주]셀바스헬스케어, 의료용 AI 훈풍 기대감에 강세 - 아시아경제
[특징주]셀바스헬스케어, 의료용 AI 훈풍 기대감에 강세 - 아시아경제
셀바스헬스케어가 장 초반 강세다. 최근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수장이 방한해 의료용 챗GPT 개발 의지를 내비치면서 주가에 훈풍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6...
www.asiae.co.kr
[특징주] 셀바스AI, '이재명 핵심 공약' AI 변호사·법률 합법화 강력 추진…'로펌부터 법무부까지 찜한' 기술력 '주목'
[특징주] 셀바스AI, '이재명 핵심 공약' AI 변호사·법률 합법화 강력 추진…'로펌부터 법무부까지
[프라임경제] 금일 장중 셀바스AI(108860)가 급등세다. 이는 더불어민주당이 제21대 대선 공약으로 리걸테크(법률·기술 결합 서비스)의 본격 활성화를 내놓으면서 향후 수혜 기대감에 강한 매수세
www.newsprime.co.kr
위와 같이 대선, ai 관련되어
특징주로 기사가 나고 있습니다.
권칠승 의원, 중소벤처 기업을 위한 7대 우선.. : 네이버블로그
권칠승 의원, 중소벤처 기업을 위한 7대 우선과제 발표
▷15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 열어 ▷"임시 처방 아닌 근본적 혁신 필요해" [위즈경제] 류으...
blog.naver.com
이번 민주당에서 제안한 혁신기업 7대
우선과제에 관한 것 중
첫 번째로 꼽히는 것이 AI변호사, 홈닥터입니다.
경영상 주요 계약에서 힌트를.
당사의 주요 계약에서
이미 2023년 이전부터
메디아나 주식 취득을 통해
셀바스 AI가 그냥 AI기업이 아닌
AI 의료 혁신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포지션을 취하고
있었을 알 수 있습니다.
차트분석
차트를 보는 순서는
월봉부터 일봉차트 순입니다.
필요하다면 120분부터
1분 봉까지 볼 수도 있습니다.
월봉차트
지난 2022년 전쟁과 미국의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의
여파에 따라 하락하였던 주가가
폭발적으로 상승한 데에는
쳇 GPT의 영향력이 지대하였고
국내 증시 특징인 꼴뚜기가 뛰면 망둥어도 뛴다 처럼
주요 관련주로 상승하였던 모습입니다.
이렇게 힘 있게 상승한 데에는 이미 당사에서
AI는 시대적으로 거스를 수 없다는 것을
인지하고 업력을 쌓아 온 가락이 있기 때문이겠죠?
여기서 셀바스 AI의 월봉에서
향 후 두 가지 시나리오를 염두해 봅시다.
두 개의 큰 상승과 하락 사이에서
당사는 재료에 취해서 유무상 증자를 일삼았을까요
2020년 불공시 법인으로 지정되어
벌금과 벌점을 맞았던 당사는
재료에 취해 오르내리는 주가 속에서
어찌 되었든 자기 일을 해 왔다는 것을
공시보고서와 재무에서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개월 횡보가 끝나고
인수한 회사의 포텐이 터지며
관세를 비롯한 국제적 공급망 문제가
해결될 경우 펀드멘탈을 바탕으로
비슷하거나 더 큰 상승을 기대하는 것이
첫 번째입니다.
두 번째 시나리오는 그 반대의 경우입니다.
재무는 훼이크였고 횡보하며
당분간 대선과 정책의 영향아래
테마를 타다가 주가가 가라앉는 그림입니다.
어떤 결말이 나올지 기대가 됩니다.
월봉에서 11,500원은 특별한 일이 없는 한
지켜줘야 할 자리입니다.
20월 봉 이평선을 뚫지 못하고 강하게
누르고 있습니다.
지난 2023년의 강한 주가 상승의 여파로
주가가 오를 법하면 매도 물량이
출회되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주봉차트
주봉차트에서 조금 더 명확한
추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투바닥을 다지며 장기 이평선을
지지하려는 노력이 보입니다.
그 힘은 미래에 당사에서 벌어들일
영업이익이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와
(이미 차트에 반영)
대선과 대선 전후의 정책적 방향이
AI를 향해 가고 있다는 것으로
느낄 수 있는 부분입니다.
주봉차트에서 11,500원 ~ 12,500원이
횡보하며 지켜만 주어도 감사한
포지션으로 보입니다.
일봉차트
월봉과 주봉을 보다 보면
우리가 평상시 보는 일봉이 얼마나
변동성이 크고 심리를 좌우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평선이 모아지고 있고
바닥을 다지고 있습니다.
하락의 추세는 멈춘 것으로 판단되지만,
더 큰 하락을 위한 상승이라면
크게 잃을 수도 있는 자리이므로
적은 금액으로 매매에 임하는 것이
현명한 처사입니다.
현재 주가 13,420원 밑으로
본인이 정한 손절가까지 1,900원이라는
작지 않은 하락의 여지가 남아있으므로
신중한 매매가 필요합니다.
여하튼 재미있는 종목입니다.
(보유 가정 시) 기술적으로 16,000원은
일단 일봉차트에서 닿을 것 같으면
전략적으로 일부 매도하여
차익실현하는 신중함이 필요해 보입니다.
기타 사항
낮은 대주주 지분
당사를 분석하며 처음부터
마음에 아쉬움이 들었던
부분은 바로 낮은 대주주 지분입니다.
유동비율이 88%대,
대주주 지분은 11.57%입니다.
(2024년 12월 기준)
이유가 있습니다.
소액 주주 연합이나 기관의 반대에
의결권이 영향받을 수 있겠죠?
유상증자나 CB 같은 자금조달의 경우에도
대주주가 참여하지 않는 경우
경영권 리스크가 증가할 수 있겠죠.
때로 이 부분에 대해 간과하더라도
- 체크할 사항은 IR활동에서 대주주
지분을 늘리려는 노력이 있는지. - 자금 조달 시 메자닌 채권 동향을 파악하고,
- 의결권 방어 장치가 있는지.
위 내용을 팔로업해야겠지요.
장기투자자라면 특히 챙겨야 할 사항이지만,
데이트레이딩 관점에서는 참고만 하도록 합시다.
종속기업의 개요
메디아나의 지분을 37.5%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위 대주주 지분이 낮은 11%의 상황은 리스크가 될 수 있겠네요.
(주)메디아나 판매 실적이 잘 나오기는 하지만
매출이 100억 원이라면 매출 37억 원을
연결재무제표에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중국소재의 셀바스 헬스케어(의료기기진단기기),
미국소재의 점자정보단말기 기업은
지분이 100% 이지만
매출액 대비 차지하는
비중이 낮으므로 차치하겠습니다.
음~ 어련히 잘하겠지요.
긍정적으로 보면,
매출액도 늘고 있고,
활동도 왕성하니까요.
정부 정책도 AI를 밀어주는
방향이고 내수뿐만이 아닌
미국과 중국을 겨냥한
마켓 확장을 염두하고 있으니,
긍정적으로 생각하도록 하겠습니다.
결론
- 재무적으로 발전의 여지가 있는 기업.
- 재료와 테마에 기대어 사는 껍데기 종목 X
- 이러한 기대는 차트에 반영되어 있지만
과거 크게 상승했던 만큼 매도물량 지속 중 - 그럼에도 하락을 막아주는 요인은
당사의 발전성(예상 매출), 국가 정책 방향 등 - 차트에서 일단 하락은 소강상태, 11,500원은
이러한 관점을 유지시켜 줄 주관적인 기준 주가. - 상승하더라도 16,000원 도달 시
가진 수량에서 일부 매도로 줄 때 먹기
본 포스팅은 공부 및 참고용입니다.
모든 것은 주관적이고
언제나 틀리기 마련입니다.
매매에 관한 추천이 아님을 다시 알려드립니다.
'재테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종목 분석 [대한항공] 약달러 시대, 날개를 펼칠 수 있을까 (5) | 2025.05.06 |
---|---|
현대무벡스 상승 이유와 종목 분석 #2 (4) | 2025.05.01 |
주식이야기 [우리기술투자] 종목 분석 (비트코인, 가상화폐 관련주) (0) | 2025.04.21 |
대선 테마주 [핑거] 종목 분석 (너는 누구냐) (6) | 2025.04.16 |
투자의 단서 [에스피지] 종목 분석 (로봇, 감속기 관련주) (2)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