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팔란티어에 대해 공부해 보록 하겠습니다.
팔란티어의 현재상황과 목표가를 정하여
향후 투자에 참고하는 포스팅입니다.
CHAT GPT와 대화를 통해
뼈를 맞은 사건이 있었습니다.
"당신은 공부는 엄청하는데 막상 매매는
감정으로 하더라?"
거의 골절상.
매도를 해도 찜찜함이 남을 수 있고
후회 없는 매매를 하기 위해,
매수를 하였다면 얼마에 트림을 하는 것이
좋을까에 대해 고찰해 봅시다.
팔란티어는?
데이터 통합 및 소프트웨어 설루션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지주회사입니다.
민간 및 정부 부문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현재 AI 소프트웨어 솔루션 부문 대장주입니다.
팔란티어 주가 추이(일봉)
전반적으로 엄청난 상승세에 있으며 역사적
신고가를 거의 연일 갱신 중인 종목입니다.
당사의 EPS
당사의 EPS는 작년 흑전 이후로
확연히 증가하는 어닝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EPS로 주가를 나눠 PER을
계산하면 650이라는 어마무시한
멀티플이 산출되며 다소 무리하는 것으로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EPS가 높은 폭으로 증가할 예정이지
현재 주가에 비해 EPS가 낮은 것은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내년 분기에 들어서 주가가 안정되고
EPS가 더 올라가 준다면
PER로 계산해도 좋겠습니다.
따라서 이번에는 PSR로 멀티플을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PSR을 알기 위해서는 매출을 먼저
따와야 합니다.
당사의 매출
2025년(예상) 매출 약 39억 달러
2024년 매출 약 28.7억 달러
2023년 매출 약 22.3억 달러
2023년 연말 PSR = 17.5배(연말 주가 $17.17)
2024년 연말 PSR => $178B / $2.87B = 약 62배(연말 주가 $75.6)
2025년 현재 PSR = 112배 ($350.6B / 3.12B)
= 약 112배(25년 7월 주가 $150)
PSR 100은 고평가라고 할 수 있지만
현재의 주가 상승 추세는 미래의 매출을
당겨 쓴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EPS가 기대된다는 뜻입니다.
지금처럼 매출의 성장률이 30%를
기대할 수 있는 기조가 유지된다면 어떻게 할까요
2025년 연말 PSR을 100을 주더라도
아주 고평가는 아닐 겁니다.
(2년 내 성장률로 극복 가능하므로)
2025년 매출을 당긴 목표 주가
3.9B X PSR 100 = 390B(시총) / 2.36B(주식 수) = 165달러
보수적으로, PSR이 무려 100일 때 $165.
단기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목표가 입니다.
이미 next 5Y EPS까지 공개되어 있는
기업이므로 모든 것을 주가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중장기적으로 PSR 100을 유지하는 상황에서
매출을 주식 수가 늘지 않는다고 가정하여
목표 주가를 계산해 볼게요.
아주 간단하지만 스스로 목표주가를 설정할 수 있다는 장단이 있습니다.
현재가 2026년 7월이라고 가정하고 매출의 성장은 유지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2027년의 매출을 미리 당겨서
주가에 반영된다고 생각해 보겠습니다.
매출은 $6.51B, PSR 50 ~ 100을 적용.
(시장이 지금보다는 덜 뜨겁다고 가정 추가 =보수적 사고)
주식 수는 조금 늘어서 2.4B.
2027년 매출을 당긴 목표 주가
(즉 2026년의 예상되는 목표 주가들)
6.51B X 50 / 2.4B = $135
6.51B X 70 / 2.4B = $190
6.51B X 100 / 2.4B = $270
따라서 단기적으로 지금의 주가가 높은 것은 사실입니다.
아래 애널리스트 2025년 forecast를 참고하면 됩니다.
마켓비트, 시킹알파, 핀비즈, 야후파이낸셜 등을
이용하여 뉴스를 타고 가면 애널리스트들의 목표 주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애널리스트 의견
목표가가 160달러에 있으며 평균 목표 주가는 90불대를
레이팅 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hold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군요.
그만큼 AI가 가지는 파급력과 시장에 끼치는 영향력은
지대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방증으로 과매수 기간은 길고
과매도 기간이 짧은 RSI, 스토캐스틱 보조지표만
보더라도 당사의 인기를 실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인기가 한풀 꺾여
멀티플 70은 비현실적이지 않습니다.
결론
이대로 간다면,
단기적으로 당사의 목표주가 $165 정도,
2026년에는 목표주가 $200 정도가
무난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물론, 정부와의 추가 계약, 전쟁에 쓰이는 팔란티어의 영향력,
미국의 군대와 부처 간의 협업, 다른 나라로의 수출 등
이벤트는 무궁무진하므로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겠습니다.
아주 간단한게 멀티플로 목표주가를 설정해봤습니다.
차트분석을 같이 해서 컬래버 하면 매도를 더
잘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재테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이야기 로켓랩(RKLB) 어디까지 가나? 목표주가는? (로켓랩 #2) (6) | 2025.07.19 |
---|---|
주식이야기 [팬오션] 종목 분석 (저PBR, 해운 관련주) (15) | 2025.07.15 |
[칩스앤미디어] 종목 분석 (한국 AI 수혜 기대, 관련주) (6) | 2025.06.23 |
주식이야기 사람인 종목 분석 (일자리 관련주) (14) | 2025.06.08 |
미국주식이야기 테슬라 종목 분석 [트럼프와의 갈등] (9) | 2025.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