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트로
국제 정세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전쟁과 관세, 미중 갈등, 정치 및 정책적 문제 등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많은 시국입니다.
국장 투자자들을 비롯하여
많은 분들께서 미국에 투자하기 위해서,
혹은 원화를 헷징 하기 위해서
달러를 샀습니다.
예전에는 은행에서 사거나 별도의 통장을
개설해야 했다면 이제는 각자의 증권 어플을
통해서 터치 몇번으로 달러를 매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렇습니다.
달러를 사는 순간 우리는 글로벌 투자자이며
외화를 벌어오는 영웅호걸이 될지
외화 유출범이 될지 결판을 내게 됩니다.
달러 자산을 유로화로 전환하면
괜히 잦은 매매를 하는 것 같고
어차피 다시 달러로 살 것인데,
글로벌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는 측면에서
유럽주식이나 채권 외화시장에 투자하는
ETF를 활용하면 유로화 자산에 노출되면서도
미국 증시에서 거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고민의 끝에서 생각난 달러를 유로화로 하는
나름의 전략적 헷징을 ETF를 매수를 검토하여
투자의 기회가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달러/유로? 유로/달러?
https://finance.naver.com/marketindex/worldExchangeDetail.naver?marketindexCd=FX_EURUSD
1유로 = 1.0867 달러 전일대비 0.0045 ( -0.41% ) 2025.03.13 모닝스타 기준 1개월 3개월 1년 3년 5년 10년 관련 뉴스 원/달러 환율, 장 초반 소폭 상승…1,454.5원 원/달러 환율은 14일 글로벌 관세 전쟁이 격화
finance.naver.com
유로/달러는 1유로당 얼마의 달러가
가치로 환산되는 가를 나타내는 환율 지표입니다.
https://finance.naver.com/marketindex/worldExchangeDetail.naver?marketindexCd=FX_USDEUR
1달러 = 0.9202 유로 전일대비 0.0038 (+ 0.42% ) 2025.03.13 모닝스타 기준 1개월 3개월 1년 3년 5년 10년 관련 뉴스 원/달러 환율, 장 초반 소폭 상승…1,454.5원 원/달러 환율은 14일 글로벌 관세 전쟁이 격화
finance.naver.com
분모와 분자가 바뀌었을 뿐
본질의 차이는 없습니다.
1달러 = 0.92유로 정도 하고있습니다.
아래에 서술할 ETF는 종류에 따라서
채권, 주식을 간접투자하는 형태도 존재합니다.
기본적으로 유로화의 가치 변동이
가장 주요하기 때문에 위 환율을
가장 먼저 눈여겨봐야 합니다.
별도 프로그램 설치나 가입을 하지 않아도
ETF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토스 증권을
통해 서치를 해봅니다.
FXE
Invesco CurrencyShares Euro Trust
유로화의 가치변동을 추종하는 ETF입니다.
시가 총액은 1.9억 달러 규모이며 약 2,500억 원 정도 되겠습니다.
상장은 햇수로 20년이 되었습니다.
투자하는 상품은 유로화 100%입니다.
순도가 높네요
놀라운 점은 배당이 있는 ETF라는 점입니다.
운용보수가 0.4% 정도라고 하니
약 1.5% 정도 기대하면 되겠습니다.
최근 배당에 따른 수익률이니, 수익률을 보고
들어가기보다는 상대적으로 떨어질 달러의 가치를
헷징 한다는 포지션입니다.
FXE 월봉차트
FXE 주봉 차트
FXE 일봉 차트
장기적 관점과 단기적 관점에서
기술적인 차트 분석입니다.
먼저 장기적 관점에서 장기적 하락 추세가 진행 중입니다.
2021년 고점 115달러 이후 지속적 하락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2022년 88달러에서 저점을 형성하고 반등 중입니다.
200주 이평선을 기준으로 장기 하락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 큰 틀입니다.
100달러 부근에서 50 주선과 120 주선의
저항하려는 움직임과
최근 미국 시장에서 빠져나온 자금들의
영향으로 유로화의 가치 변동에 영향을 주는
움직임의 갈등을 차트로 알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합니다.
94달러를 지지하는지가 관건
94달러는 우상향의 추세를 위한 발판이
될 수 있는 자리입니다.
그러나 과도기적인 반등의 가능성을 염두해야 합니다.
손절라인이 필요한 이유이며 이러한 시나리오를
생각하지 않는다면 단순한 배팅이 됩니다.
따라서 위 차트를 보고 작은 결론을 낼 수 있는
단서는 첫 번째, 88달러와 94달러가
ETF의 분할 매수 및 분할 매도의 자리로
여겨야 한다는 점입니다.
타이트하게는 94달러, 길게 보자면 88달러입니다.
두 번째, 기술적인 것은 후행이며 정치적인
큰 결단을 이기지는 못한다는 점입니다.
기술적인 검토는 언제나 참고 수준이고
익손절라인을 정하기 위함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UUP
Invesco DB US Dollar Index Bullish Fund
달러 인덱스 선물 계약을 통해
미국 달러를 매수하고 타국 통화를
매도하여 수익을 내는 ETF입니다.
시가 총액이 3.3억 달러이며
듣보잡 ETF는 아닙니다.
배당이 운용보수를 제외하고 3.8% 정도입니다.
2023년 연간 배당수익률은 6%가 넘었습니다.
그러나 FXE와 마찬가지로 배당은 유동적이며
달러를 현금으로 가지고 있되
유로화의 가치가 달러대비 떨어질 것을
생각하여 헷징의 용도로 투자한다고 봐야겠습니다.
즉, 거시경제의 흐름을 읽고
특정 기간을 정해놓은 뒤
그 기간 내에 결판이 나지 않으면
정리를 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은행 이자만큼은
FXE 반대로 달러의 강세에 투자하는 ETF
차트적 관점에서 우상향 추세를 이어왔으나
트럼프효과로 유로를 찾는 투자자들이 몰리면서
달러의 가치가 약화되었습니다.
즉, 우리가 이렇게 공부하고 있는 ETF는
미중 무역전쟁, 관세 부과 등에 대한 금융 시장의
불안정을 대체 안전 자산으로 간주하는 유로화로
부의 이동이 어느 정도 진행 중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환기하게 만들어 줍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단기적일까?
트럼프 옹의 거칠고
과감하게 보이는 이러한 정책들은
증시에는 리스크지만,
큰 틀에서 미국의 과도한 재정적 지출을 막고
통화 주축국이자 군사 1위의 강대국의
입지를 굳건히 하기 위해
단기적으로 어느 정도의 리세션은 받아들이겠다는
의미로 봐야겠습니다.
유럽 지역 - 인플레이션 | 1991-2025 데이터 | 2026-2027 예상
유럽 지역 - 인플레이션 | 1991-2025 데이터 | 2026-2027 예상
ko.tradingeconomics.com
유럽의 인플레는 금리인상을 시사하며
환율은 모든 것을 실시간 반영합니다.
비교적 안정적인 물가 상승률입니다.
따라서 최근의 유로화 가치 상승은
트럼프로 인한 것이지
물가 상승 및 금리 인상을 시사하는
이유가 되지 않습니다.
UUP는 유로화의 약세에
투자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기관은 어떠한 인사이트를 가지로 투자했을까요
최근 분기의 방향은 달러에 배팅하였습니다.
트럼프의 취임 전을 포함하고
있어서 참고만 해야겠습니다.
결론
달러를 보유한 우리는 어떤 판단을 해야 할지
조금이나마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향후 검토해야 할 사항은
유럽의 물가 상승률과 유럽중앙은행의 금리 방향성을 통해
유로화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 여지가 있는가,
미국의 관세에 유럽은 어떻게 대응하는가,
미국의 물가상승률, 고용률의 추이 등입니다.
FXE는 유로화가 달러를 상대로 가치가 높아지면
올라가고 떨어지면 내려갑니다.
UUP는 FXE와 반대입니다.
유로화를 상대로 달러의 가치가 올라가면 UP
내려가면 하락합니다.
2배 레버리지나 인버스도 있지만
1억 달러 미만의 펀드라 차치하도록 하겠습니다.
FXE는 장기하락, 단기 반등의 국면에 있으며
UUP는 장기상승, 단기 하락 상황입니다.
FXE의 단기적인 지지는 94달러입니다.
100달러를 지지하는지가 관건입니다.
원화 기준에서 FXE는 원화를 달러로 한번 헷지하고
다시 그 달러를 유로화와 연계된 ETF로 투자하여
헷지하는 구조입니다.
두번 헷지하는 데다가 환율이 두 번 세 번
얽혀 있기도 하고
거시경제의 흐름을 시기적인 것까지
맞춰야 하기 때문에
단순히 수학적으로
계산할 수 없는 복잡한 영역입니다.
대신, 원화가치도 못믿는 상태인데다,
달러 자산에 대한 위상이 일정 기간동안
회피할 투자처를 찾고 있다면
매력적인 공부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
이러한 헷지는 가진 자산의 5% 미만에서
포트폴리오에 편입함이 옳습니다.
아무쪼록 외화 벌어 애국하시기 바라며,
영감을 얻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본 포스팅은 특정 상품의 매매를 권유하거나
추천하는 것이 아닌 주관적인 인사이트를 다뤘으며
공부용 참고용임을 알려드립니다.
'재테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이야기 [HB테크놀로지] 종목 분석 (유리기판 관련주, 디스플레이 관련주) (9) | 2025.03.24 |
---|---|
영웅문 키움증권 Stochastics Slow(스토캐스틱) 쉬운 지표 설정 방법(사진 有) (2) | 2025.03.18 |
주식이야기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종목 분석 #2 (4) | 2025.03.10 |
우라늄 ETF 종류와 장단점, 차트 분석[URA, URNM, URNJ] (4) | 2025.03.09 |
주식이야기 [한국콜마] 종목 분석 (관세 수혜주, 화장품 실적주) (2)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