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라늄 ETF 종류와 장단점, 차트 분석[URA, URNM, URNJ]
인트로
우라늄 ETF는 우라늄 산업과 관련된 기업
또는 우라늄 현물 가격을 추종하는
상장지수 펀드를 말합니다.
원자력 발전이 확대되면서 우라늄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우라늄 관련
ETF에 대한 관심도 또한 높아지고 있습니다.
우라늄 ETF에 대해 공부해 봅시다.
우라늄 ETF 종류
더 많은 ETF가 있지만 오늘 공부해볼 ETF는
미국에 상장되어 있는 세 가지 ETF입니다.
① URA
② URNM
③ URNJ
※ 현물에 관해서는 Yellow Cake PLC 가 있는데 영국상장이고
SRUUF라는 것도 있는데 기회가 된다면 다음에 다뤄보겠습니다.
① URA

□ 가장 대표적인 우라늄 ETF입니다.
□ 캐나다, 미국, 호주 등 주요 우라늄 채굴 기업에 투자합니다.
□ 상위 보유 종목은 Cameco, nexGen 에너지, Uranium 에너지 등입니다.
우라늄 관련 기업들에 가장 보편적인 ETF 투자처입니다.
□ 운용사 : Global X
□ 설립연도 : 2010년
□ 총 보수 : 0.69%
□ 수익률 : 3.2% (보수를 제외한다면 약 2.5%입니다.)
배당은 6월과 12월에 걸쳐 두번입니다.
배당에 관해

배당 수익률에 관해 3.2% 만 보는 것보다
이렇게 전체를 그래프로 보는 것이 낫습니다.
물려서 손절도 못하고 진땀 빼는 것보다
물려도 배당을 보고 자연스럽게 장기투자였다고
정신승리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신 보유한 종목이 멀리 가면 승리할 것이라는
확인이 있어야 합니다.
보유 비중 Top 10

카메코가 제일 많습니다.
카자톰프롬은 친 러시아 우라늄 채굴회사입니다.
카자흐스탄 국영기업인데 ETF를 통해
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됩니다.
URA 월봉 차트

월봉차트에서 볼 수 있듯이
2011년 후쿠시마 원폭사건으로 인하여
주가가 많이 하락한 모양새입니다.
최근 월봉은 우상향 추세를 그리고 있으며
우상향의 추세는 2021년부터 지속되어
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주가 23.4달러에서 지지 및 기술적 반등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언제나 기대한 값과 다르게 주가는
움직이기 마련이므로 17.5달러 까지도
내려갈 수 있다는 예상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비관적 시나리오를 예상하고 대비하는 것과
하지 않는 것의 차이는 실제로 그 가격대에 도달하였을 때
심리가 무너져서 손절하거나 큰 수익을 못 보는 데 있다고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월봉차트를 보는 이유는
차트관점에서 가장 강한 추세와 손절라인을
정하는 데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수익을 본 다는 가정하에
월봉차트에서 고려해야 할 가장 주요한
익절 라인은 32달러대입니다.
전부 매도를 외치는 것이 아닌
일부익절을 통해서 조정을 줄 때
털리지 않기 위함입니다.
URA 주봉 차트

월봉차트와 기술적인
지지라인이 비슷하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23.7달러입니다.
스토캐스틱이 하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충분히 과매도 상태인데, 거래량을 동반하여
지지할 것처럼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차트적 관점에서 이렇게 지지할 것처럼 보이는
긍정적 사인의 이면에는 항상 리스크가 있습니다.
저 또한 이렇게 보듯 남들도 좋게 볼 수 있거나
본인만 이렇게 좋게 보는 경우입니다.
흔히 일어나는 오류 중 하나이며 누구도
이러한 실수를 범할 수 있으니 다양한
관점에서 시야를 키울 필요가 있습니다.

위 이미지는 인베스팅닷컴에서 참고한
우라늄 선물 가격 차트입니다.
크게 보면 비슷하기도 한 우라늄 선물 차트와
URA ETF 월봉차트입니다.
마찬가지로 추세를 지켜주기 위해서
횡보가 필요한 가격대이기는 합니다.
우라늄 선물의 가격 요인에는
달러 강세, 수요 공급의 비대칭,
경기 침체 우려 등이 있습니다.
수요 공급의 비대칭은 급하게 투하된
자본과 별개로 지어지는 원전의 수는
한동안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일어나는 일시적 공급망의 과잉이라는
것으로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경기 침체에 관해서는 할 이야기 많지만
현재 단계에서는 우려이며 정치적 이슈가
더 크기 때문에 일시적이라는 것으로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달러의 강세는 1~2년 내 미국은 공장을 지어 수출을
많이 하려는 정치적인 판단과 수가 깔려 있기 때문에
약세를 할 것이라는 결론에 다다랐습니다.
전력 인프라의 확충에 대한 해결책이
원자력이라는 것을 차치하고 변수들을 정리해봤습니다.
우라늄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 요인들을
하나씩 뜯어보면 장기적으로 우라늄의 수요는 늘어날 것이라는 것 외에
더 우위에 있는 변수는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주관적 주의)
카메코와 주봉 차트 비교
URA의 가격은 여러 주가들과 연동되어 있다 보니
원자재와 100% 매칭되는 것도 아니고 특정 주식과
무조건 매칭한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대장주이자
가장 큰 비중을 가지고 있는 카메코와
차트로는 비슷합니다.
카메코의 주봉차트

카메코에 관해서는 지난번에
포스팅한 것을 최하단에 링크
해놓을 테니 참고 바랍니다.
URA 일봉 차트

주요 가격 이평선들을 이탈하고
거래량을 동반하여 하락하다가
직전 저점에서 기술적 반등의
여지를 남겨놓은 상태입니다.
과한 해석일 수 있으나,
확신을 가지고 투자하기 위해서는
18달러까지 하락한다라는 가정을 하고
분할 매수가 필요하기는 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투자자들은 우라늄 하나만 보고
재테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그 가격은 차치하겠습니다.
② URNM

□ 순수 우라늄 채굴 기업 위주로 투자합니다.
□ URA보다 우라늄 가격과의 상관관계가 큽니다.
□ 설립연도 : 2019년
□ 총 보수율 : 0.75%
□ 배당 수익률 : 3.82%
URNM 보유비중 Top 10

보유 종목수가 URA에 비해 적고
대형주보다 중소형 기업의 비중이 보다 높습니다.
운용자산은 URA에 비해 절반정도로 작습니다.
배당 수익률은 URA보다 높아야 하지만,
그 폭이 크지 않고 띄엄띄엄 있습니다.

URNM 주봉 차트

우라늄 ETF의 대장주보다
한 끗 약한 추세의 힘입니다.
③ URNJ

□ URA, URNM에 비해 운용 자산이 작습니다.
□ 거래량이 적기 때문에 스프레드가 큽니다.
□ 설립연도 : 2023년 2월
□ 운용비 : 0.8%
□ 배당수익률 : 연 5.51%
배당수익률에 관해

보유 종목들

카메코가 없고 더 작은 기업들이 포진되어 있습니다.
적자기업이 많습니다.
URNJ의 주봉차트

단순 기술적인 판단을 하기 앞서
적자기업이 많은 상태에서
경기 침체 우려로 보유 종목들이
하락을 따라가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전저점을 깨고 내려갈 리스크를
가져가야 하는 차트입니다.
물론 보유하지 않으면 그러한 리스크를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
13.66달러가 주요 분기점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소결론
URNJ는 고위험 고수익 ETF입니다.
우라늄 가격이 상승할 때 URA보다 더 큰 수익 창출이 가능합니다.
우라늄 상승 사이클을 확인 후 소액 투자해야 합니다.
URA와의 분산투자를 병행하여 리스크 관리가 필요합니다.
기관투자자가 많지 않은 ETF입니다.
유동성 리스크가 존재하며 단기적 급등락이 큽니다.
URA & URNM & URNJ 비교
구 분 | URA | URNM | URNJ |
운용사 | Global X | Sprott | Sprott |
운용 자산 | 약 28.3억 달러 | 약 12.5억 달러 | 약 2억 달러 |
보유 종목 수 | 40개 이상 | 30개 이하 | 20개 이하 |
주요 특징 | 대형주 중심 | 중소형 기업 비중↑ | 소형주 중심 |
변동성 | 낮음 | 중간 | 높음 |
우라늄 가격과 연관성 | 중간 | 높음 | 매우 높음 |
결론
URA의 투자는 중장기 우라늄 투자에 적합합니다.
우라늄 가격 상승에 따른 수익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형 우라늄 기업 중심이며 비교적 안정적입니다.
URNM과 비교하였을 때 배당과 운용비용 측면,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더 유리합니다.
정책리스크가 존재하며 원전 사고의 경우
과거 기록상 80%까지 하락한 바 있습니다.
차트적 관점에서 검토가 가능하지만,
손절라인을 잡기 위해서가
분석의 주요 이유입니다.
AI, 데이터센터, 전기차 등 산업 구조의 체질 변화에 앞서
전력 인프라 확충을 위해 원자력발전은 꼭 필요하다는
전제가 있는 상태라면 장기적으로 지지 않는
투자처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합니다.
따라서, 차트를 참고하여 주요 지지라인에서
분할 매수하여 관련 뉴스를 팔로 업한다면
우리에게도 기회가 있지 않을까요.
감사합니다.
특정 상품을 매매케 하는 것이 아닌
공부용, 참고용 포스팅입니다.
주식이야기 [카메코] 기업 분석 (우라늄 채굴, 공급 대장주)
주식이야기 [카메코] 기업 분석 (우라늄 채굴, 공급 대장주)
주식이야기 [카메코] 기업 분석 (우라늄 대장주) 인트로 원전과 소형원자로(SMR)의 수요가 미래에는 증가할 것으로예상되는 가운데 관심을가지면 좋을 회사를 찾아서여러분과 함께 공부해보
ninnini.tistory.com
'재테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러를 유로화로 투자하는 롱, 숏 ETF 소개 및 분석, 미국 관세에 대한 생각 (0) | 2025.03.14 |
---|---|
주식이야기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종목 분석 #2 (4) | 2025.03.10 |
주식이야기 [한국콜마] 종목 분석 (관세 수혜주, 화장품 실적주) (2) | 2025.03.08 |
주식이야기 [템퍼스 AI] 종목 분석 (헬스케어 AI 관련주) (9) | 2025.03.06 |
주식이야기 [코스맥스] 종목 분석 (화장품, 한한령, 실적 관련주) (5) | 2025.03.04 |